6. Glossary
Table of contents
* : mobilgene 네이밍룰인 경우
1. AUTOSAR 용어
용어 | 내용 |
---|---|
ArxmlAutosaR XML | AutosaR XML; XML 양식을 따르는 AUTOSAR Description 파일 |
DRAData Read Access | Data Read Access; Runnable 시작 시 data를 수신 (Implicit) |
DRPBAData Receive Point By Argument | Data Receive Point By Argument; API 호출 즉시 data를 수신 (Explicit) |
DRPBVData Receive Point By Value | Data Receive Point By Value; API 호출 즉시 data를 수신 (Explicit) |
DSPData Send Point | Data Send Point; API 호출 즉시 data를 전달 (Explicit) |
DWAData Write Access | Data Write Access; Runnable 종료 후 data를 전달 (Implicit) |
C/SClient-Server | Client-Server; Client가 Server의 Operation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 |
Explicit | 호출할 때마다 Data 값을 변경해 전송하면 내부 버퍼에 계속해서 변경된 값이 저장 |
IBInternal Behavior | SW-C의 Internal Behavior |
Implicit | 호출할 때마다 값을 변경해 Data를 여러 번 전송해도 Sender측 runnable이 종료된 후에 값을 전달하기 때문에 버퍼에는 가장 최근의 Data가 저장 |
IRVInter Runnable Variable | Inter Runnable Variable |
PIMPer Instance Memory | Per Instance Memory |
RERunnable Entity | Runnable, Runnable Entity, SW-C의 Runnable Entity; Rte Event로 트리거되는 AUTOSAR SWC 내부에서 실행 가능한 최소 단위 코드 (함수처럼 동작) |
RLVRead Local Variable | Read Local Variable |
RTERun Time Environment | Run Time Environment, SW-C 간 통신을 중계하고 SW-C의 Runnable Entity를 스케줄링 |
S/RSender-Receiver | Sender-Receiver; Sender가 Receiver 측에 Data를 보내는 방식 |
SSCPSynchronous Server Call Point | Synchronous Server Call Point |
SW-CSoftware Component | Software Component |
WLVWritten Local Variable | Written Local Variable |
1.1 RTE API 용어
용어 | 내용 |
---|---|
Rte_Write | DSP, Non-Queued; Queue를 사용하지 않고 Explicit하게 Data를 Write하는 API Return Type이 Std_ReturnType |
Rte_IWrite | DWA, Non-Queued; Queue를 사용하지 않고 Implicit하게 Data를 Write하는 API Return Type이 void |
Rte_Send | DSP, Queued; Queue를 사용하여 Explicit하게 Data elements를 Send하는 API Return Type이 Std_ReturnType |
Rte_Read | DRP, Non-Queued; Queue를 사용하지 않고 Explicit하게 Data를 Read하는 API Return Type이 Std_ReturnType |
Rte_IRead | DRA, Non-Queued; Queue를 사용하지 않고 Implicit하게 Data를 Read하는 API Return Type이 Data의 Type |
Rte_Receive | DRP, Queued; Queue를 사용하여 Explicit하게 Data를 Receive하는 API Return Type이 Std_ReturnType |
Rte_IrvWrite | IRV; Irv에 Implicit하게 Data 값을 Write하는 API Return Type이 void |
Rte_IrvRead | IRV; Irv에서 Implicit하게 Data 값을 Read하는 API Return Type이 Data의 Type |
Rte_Call | Client Port, Function Call; Server의 Runnable을 바로 호출하는 API Return Type이 Std_ReturnType 등 |
Rte_Switch | Mode Port, Mode Switch; 모드를 전환하는 API Return Type이 Std_ReturnType |
Rte_Mode | Mode Port, Mode Switch; 현재 모드를 조회하는 API Return Type이 ModeType |
1.2 Runnable Trigger
용어 | 내용 |
---|---|
TTiming Event *TETiming Event | Timing Event; Software-Component description 내에 정의된 시간에 맞게 주기적으로 하나의 Runnable Entity를 작동시키는 EVENT |
DRData Received Event *DREData Received Event | Data Received Event; S/R 인터페이스 상에서 signal을 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한 Runnable Entity를 작동시키는 EVENT |
DREData Receive Error Event *DREEData Receive Error Event | Data Receive Error Event; S/R 통신에서 수신 쪽 data element의 error status를 수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Runnable Entity를 구동하기 위한 EVENT |
DSCData Send Completed Event | Data Send Completed Event; Transmit acknowledgment Notification들을 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한 Runnable Entity를 작동시키는 EVENT (Explicit S/R Communication only) |
DWCData Write Completed Event | Data Write Completed Event; Transmit acknowledgment Notification들을 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한 Runnable Entity를 작동시키는 EVENT (Implicit S/R Communication only) |
OIOperation Invoked Event, *OIEOperation Invoked Event | Operation Invoked Event; C/S 통신에서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Operation 실행을 위한 요청을 받았을 때 발생하는 Event |
ASCRAsynchronous Server-Call Returns Event | Asynchronous Server-Call Returns Event; 비동기적인 C/S operation의 상태정보와 결과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Runnable Entity를 활성화시키는 EVENT |
MSMode Switch | Swc Mode Switch Event; Mode변경의 결과로 Runnable Entity를 구동하기 위한 EVENT |
MSAMode Swiched Ack Event | Mode Swiched Ack Event; mode가 수신완료 또는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발생 |
MMESwc Mode Manage Error Event | Swc Mode Manage Error Event; mode handling 동안 에러 발생시 RTE에 의해 발생 |
2. RapidAUTO 용어
용어 | 내용 |
---|---|
Context Menu | 프로젝트를 Open한 상태에서 모델 요소에 마우스 가운데 버튼을 눌렀을 때 보여지는 RapidAUTO 메뉴 |
I<인터페이스명> | SW-C간 통신에 사용되는 Interface를 의미하며, 대문자 ‘I’를 Prefix로 붙이는 것을 권장. ex) IProcessCmd / (참고) ‘I’로 시작하지 않고 자유로운 네이밍으로도 가능 |
p<인터페이스명> | Interface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provided port를 의미하며, provide를 의미하는 소문자 ‘p’를 Prefix로 붙인 후 인터페이스 명을 붙인다. ex) pProcessCmd |
P_<인터페이스명> | Interface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provided port를 의미하며, 모빌진 네이밍룰인 경우 provide를 의미하는 ‘P_’를 Prefix로 붙인 후 인터페이스 명을 붙인다. ex) P_ProcessCmd |
PDTProduct Line | Variant Handling을 위한 SW Product Line |
r<인터페이스명> | Interface를 서비스를 요청하는 required port를 의미하며, require를 의미하는 소문자 ‘r’을 Prefix로 붙인 후 인터페이스 명을 붙인다. ex) rProcessCmd |
R_<인터페이스명> | Interface를 서비스를 요청하는 required port를 의미하며, 모빌진 네이밍룰인 경우 require를 의미하는 ‘R_’을 Prefix로 붙인 후 인터페이스 명을 붙인다. ex) R_ProcessCmd |
Solution | 개발 프로젝트 |
SW-CSoftware Component | Software Component |
ADArchitectural Design SWADSoftware Architectural Design | [SW] Architectural Design Software Architectural Design |
UDUnit Design SWUDSoftware Unit Design | [SW] Unit Design Software Unit Design → ISO26262의 SW Unit Design and SW Unit Implementation과 동일한 의미를 갖음. → A-SPICE의 SW Detailed Design and SW Unit Construction과 동일한 의미를 갖음. |
Tray Menu | Windows 작업표시줄 하단에 있는 R.AUTO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 보여지는 메뉴 |
UCUse Case SWUCSoftware Use Case | [SW] Use Case Software Use Case |
UCRUse Case Realization | [SW] Use Case Realization |
VOPC DiagramView of Participant Component(또는 Class) Diagram | View of Participant Component(또는 Class) Diagram→ SW-C 간의 구조와 관계를 표현하는 Component 다이어그램 |
Workflow Diagram | Behavior를 명세한 Sequence Diagram |
Workspace | R.AUTO 프로젝트의 로컬 작업 경로 (Solution Path) |
Working Copy | 형상관리 서버 저장소로부터 Check Out을 통해 내려 받은 로컬 PC의 작업 사본 경로(형상관리 서버의 Solution repository와 mirroring되어 있는 경로) |